ALLTOP4

조현병 향한 두 시선, 원인, 증상, 치료법

반응형

조현병 환자를 바라보는 의학계와 시민의 반응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학계는 조현병 자체가 굉장히 공격적이고 높은 범죄율로 포장돼 환자들에 대한 사회적 낙인이 가혹하게 확산되고 있는 것에 대해 우려를 표한다는 취지의 서명을 낸 바 있습니다. 조현병 환자 대부분은 온순하고 일부 환자에게만 공격성이 나타나고 범죄와 연관되는 조현병 환자의 폭력은 소수이며, 그 수도 일반인의 범죄율보다 높지 않다고 전했습니다. 적절한 보살핌과 치료로 공격성을 가진 조현병 환자를 예방할 수 있으며, 적절한 인프라 구축과 제도적, 재정적 지원이 필수적이라고 밝혔습니다. 반면 시민들의 반응은 달랐습니다. 일각에서는 일부 피의자들이 본인을 심신미약 상태의 조현병 환자라고 주장하며 감형을 요구하는 데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습니다. 암튼 지금부터 조현병 원인과 증상 치료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조현병이란 망상과 환청, 와해된 언어, 정서적 둔감 등의 증상을 보이는 질환입니다. 주로 10대 후반에서 20대에 발병해 만성적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신경전달 물질 이상으로 나타나는 유전적 요인과 스트레스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환경적 요인이 있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최근 5년 조현병과 관련된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2012년 10만 980명이었던 조현병 환자가 2017년 10만 7662명으로 증가했습니다. 5년 사이 약 7%가량 조현병 환자가 증가한 것이죠.


정신건강의학과 전문가들은 조현병은 조기 진단과 동시에 치료를 받으면 별다른 장애 없이 사회로 복귀가 가능한 질병이라고 말합니다. 너무 치료를 늦게 시작하거나 중단할 경우 재발할 수 있어 그만큼 치료 효과가 떨어진다고 전했습니다. 하지만 조현병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민간보험 가입 거부로 인해 환자들이 적극적으로 치료에 나서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조현병은 다양한 원인만큼 치료법도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치료법은 약물치료이며, 그 밖에 심리 사회적 치료 요법이 있습니다. 조현병 약물치료를 시작하면 정신 운동성 초조, 환청 등을 수일 내 호전될 수 있습니다. 망상 같은 증세도 수 주내 호전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대부분 조현병 환자들은 6~8주 정도 적절한 약물치료를 유지할 경우 급성기 증상 상당 부분이 호전됩니다.



저 역시 일부 환자에게만 공격성이 나타난다고 해서 그들을 바라보는 시선을 달리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그들 중 누가 공격적으로 변할지 모르고 그들로 인해 피해를 입은 피해자들과 그의 가족들은 평생을 고통 속에 살아가야 하는데 조현병 환자들을 두둔하다니요. 조현병 환자에 대한 범죄 처벌 강화 및 그들이 사전에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인프라 구축이 사회적 필수 요소라는 생각이 듭니다.


[추천글] 독감과 감기는 어떻게 다를까? 증상과 예방법 총정리

[추천글] A형 독감과 B형 독감, 어떤 차이가 있을까?

[추천글] 뇌졸중 전조증상 및 골든타임, 예방법은?

반응형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