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TOP4

제사 지방 쓰는법, 제사상·차례상 차리는법 알아보기

반응형

명절 때 제사상이나 차례상을 차리다 보면 지방을 써야 할 때가 있는데요. 자주 쓰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내용이나 방법을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방(紙榜)이란 죽은 사람 이름과 날짜를 적은 위패 신주(神主)를 모시고 있지 않은 집안에서 차례나 제사를 지내면서 조상을 모시기 위해 종이에 쓴 것을 말하는데요. 지금부터 제사 지방 쓰는 법, 제사상 차리는 법, 차례 지내는 순서 등을 한방에 정리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서울시설공단

목차
제사 지방 쓰는법
제사상 차례상 차리는 법
차례 지내는 순서

 

 

제사 지방 쓰는 법

지방은 주로 창호지 종류인 한지를 사용하는데 규격은 폭이 6cm, 길이가 22cm 정도가 좋습니다. 위치는 아래 내용을 참고해주세요.

출처: 네이버

 

 

① 지방을 쓸 때 왼편에는 고위(考位 할아버지 위)를 쓰고, 오른쪽에는 비위(卑位 할머니 위)를 쓰면 됩니다. 한 분만 돌아가셨을 경우 돌아가신 분만 중앙에 쓰면 되고 지방에 아내를 쓸 때는 顯(현) 자를 故(고) 자로 고쳐 쓰고 동생 이하 卑幼(비유)에는 亡(망) 자로 고쳐 쓰면 됩니다.

② 자식 지방에는 기혼일 경우 學生(학생)이라고 쓰고 미혼 시이라면 秀才(수재)라 쓰면 됩니다.

③ 생전에 벼슬을 했다면 學生(학생) 대신 벼슬의 직급 혹은 직위를 쓰면 됩니다.

④ 신위(神位)는 고인 사진으로 하되 사진이 없다면 지방(紙榜)으로 대신합니다.

⑤ 생전에는 父라 하지만 사후(死後)에는 考라 하며 생전에는 母라 하고 사후(死後)에는 비(卑)라고 합니다.

⑥ 여자인 경우 유인(孺人) 다음에는 본관과 성씨를 쓰고 아내의 제사인 경우 자식이 있어도 남편이 제주(祭主)가 되며 자식의 경우는 손자가 있어도 아버지가 제주가 됩니다.

⑦ 만약 재취(再聚)로 인하여 지방이 삼위(三位) 일 경우는 왼쪽에 남자의 지방을 약간 높게 붙이고 중간에 본비의 지방 오른쪽에 재취비의 지방을 붙이면 됩니다.

⑧ 여자의 경우 모봉(母封)은 남편의 직품에 따라 1품은 정경부인(貞敬夫人), 3품은 숙부인(淑夫人), 4품은 숙인(淑人), 벼슬이 없으면 孺人이라 씁니다.

⑨ 여자의 모관 모씨(募貫募氏)는 본관 성씨를 쓰면 됩니다.

⑩ 한글의 경우도 한자 지방에 준하여 씁니다.


제사상 차례상 차리는 법

제사 지방 쓰는 법 외에도 제사상 차리는 법도 중요한데요. 제사를 자주 지내는 집안이 아니라면 음식을 어디다 놓아야 할지 고민이 될 때가 많습니다. 제사상 차례상은 신위(지방)를 기준으로 1열부터 5열까지 차립니다. 아래 보시면 각 열마다 음식을 놓는 순서와 방향이 있으니 참고해보시길 바랍니다.

출처: 다음카카오

 

 

① 1열은 술과 밥, 떡국, 송편을 놓는 줄입니다.

제사상 앞에서 볼 때 떡국(송편)은 우측 술잔 좌측에 놓습니다. 수저와 대접은 왼쪽에 올리고 양위합제는 중간 부분에 올립니다.

② 2열은 적과 전을 놓는 줄입니다.

보통은 3적으로 육적(육류 적), 어적(어패류 적), 소적(두부 채소류 적)의 순서로 올립니다. 

③ 3열은 탕을 놓는 줄입니다.

대개 3탕이라고 하면 육탕(육류탕), 소탕(두부, 채소류 탕), 어탕(어패류 탕) 순으로 올립니다. 5탕으로 할 때는 봉탕(닭, 오리탕), 잡탕 등을 더 올리면 되는데 보통 한 가지 탕으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④ 4열은 포와 나물을 놓으시면 됩니다.

앞에서 볼 때 좌측 끝에는 북어, 대구, 오징어포 등 포를 쓰면 되고 우측 끝에는 식혜나 수정과를 쓰니다. 중간에는 나물 반찬의 경우 콩나물, 숙주나물, 무나물 순으로 올리면 되고 고사리, 도라지, 시금치나물 등 삼색 나물 등을 쓰기도 합니다. 그리고 김치와 간장, 동치미 등은 그다음에 올립니다.

⑤ 5열은 과실을 놓는 줄입니다.

좌측부터 대추, 밤, 감(곶감), 배(사과) 순으로 놓습니다. 그 외 과일은 정해진 순서가 없습니다. 하지만 나무 과일, 넝쿨 과일 순으로 차리는 게 일반적입니다. 또 과일 줄 끝에는 과자(유과)류를 올려놓습니다.


차례 지내는 순서

 

 

① 강신: 제주가 향을 피운다. 집사가 잔에 술을 부어주면, 제주가 모삿그릇에 3번 나누어 붓고 두 번 절한다. 신주를 모실 경우, 혹은 묘지에서는 아래 참신을 먼저 하고 강신한다. 묘지에서는 모삿그릇 대신 땅에 뿌려도 무방하다.

② 참신: 기제사와 같다. 일동이 모두 두 번 절한다.

③ 헌주: 술을 제주가 올린다. 기제사와 달리 제주가 직접 상 위에 잔에 바로 술을 따르는 것이 보통이다.

④ 삽시정저: 떡국 혹은 송편에 수저, 시접에 젓가락을 정돈한다.

⑤ 시립: 일동이 잠시 동안 공손히 서 있는다.

⑥ 사신: 수저를 거둔다. 뚜껑이 있다면 덮는다. 일동이 2번 절한다. 지방과 축문을 불사르고, 신주를 썼다면 다시 모신다.

⑦ 철상, 음복: 기제사와 같다. 상을 치우고 음식을 나누어 먹는다.

 

오늘은 제사 지방 쓰는 법과 차례상 제사상 차리는 법, 차례 지내는 법 등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았는데요. 매년 고민이셨던 분들은 이번 기회에 확실하게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럼 여러분 모두 즐겁고 행복한 명절 보내시길 바랍니다. (출처: 서울시설공단, 홍성추모공원, 네이버, 다음카카오)

반응형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