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TOP4

지방쓰는법 순서와 주의할 점 알아보기

반응형

추석을 앞두고 '지방쓰는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방'이란 쉽게 말해 그날 제사를 받는 사람이 누구인지 나타내는 것이다. 과거에는 제사를 지낼 때 위패를 모셔다 지냈지만 오늘날에는 일반적으로 가정에 사당이나 조상 위패가 없는 집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제사 등을 지낼 때 형편상 임시로 종이에 글을 적어 위패 대신 삼는 것이 바로 지방이다. 





이때 지방은 폭 6cm, 길이 22cm의 한지에 붓을 이용해 작성한다. 또한 상단 모서리가 접히거나 잘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지방은 제사 직전 만들어 제사 후에는 소각하는 것이 원칙이다.


제사를 지낼 때 부모 한쪽이 생존해 있을 경우 단독으로 제사를 지내기 때문에 한 분만 쓰면 된다. 만약 두 분 모두 돌아가셨다면 지방에 부모를 같이 쓰면 된다. 이때 오른쪽에는 어머니 신위를 쓰고 왼쪽에는 아버지 신위를 쓰면 된다. 지방에는 고인과 제사를 모시는 사람의 관계, 고인의 직위, 고인의 이름을 적고 마지막에 신위라고 적는다.



먼저 차례를 모시는 사람과의 관계를 살펴보자. 아버지는 상고할 고(考), 어머니는 죽은 어미 비(妣), 할아버지는 조고(祖考), 할머니는 조비(祖妣), 증조 이상에는 증(曾) 자와 고(高) 자를 앞에 붙이면 된다. 


모시는 사람과의 관계 뒤에는 직위를 적는다. 조상이 만일 벼슬을 했다면 벼슬 이름을 쓰고 벼슬을 지내지 않았다면 남자 조상은 학생(學生), 여자 조상은 유인(孺人)이라 적으면 된다. 이어 벼슬 뒤에 이름을 적고 남자 조상은 부군(府君), 조상은 고인의 본관과 성씨를 적으면 된다. 마지막으로 신위(神位)를 붙이면 되는데 예를 들자면 아버지를 기리는 제사나 차례의 경우에는 현고학생부군신위(顯考學生府君神位)라고 쓰면 된다.


[관련글]2019 추석 명절 유형별 인사말 추천 TOP10

[관련글]2019 추석 명절 유용한 공공서비스 TOP6

반응형
그리드형